우리의 축산물 안전 관리시스템이 어느새 우리 축산물의 국제경쟁력을 높이는 가장 중요한 핵심 사안으로 떠올랐다.
그동안 소비자들의 축산물 선택기준은 가격이나 품질우선이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질병, 위생, 안전에 관한 문제가 이슈가 되면서 안전이 가격이나 품질보다 더 우선 순위에 놓이게 된 것이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수입 축산물보다 우리 축산물을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선 안전을 중시하는 소비자의 니즈에 부합한 시스템을 갖추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 그 시스템은 비교적 짧은 시간에 갖춰지고 있다.
농장에서 식탁에 이르는 HACCP, 친환경 농장 지정, 무항생제 축산물 인증, 쇠고기 이력추적 시스템 등이 바로 그것이다.

문제는 이 같은 시스템을 어떻게 조기에 정착시키느냐는 것이다. 그런데 축산물 안전 관리의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이 같은 구체적인 제도의 시행과 관련해서는 아직도 논란이 없지 않다. 이를테면 농장에서 HACCP이 과연 가능할 것이냐, HACCP 도입에 따른 비용부담은 결국 우리 축산물의 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것 아니냐, 무항생제 인증을 받지 않은 축산물은 항생제 축산물이냐, 쇠고기 이력추적제 실시에 따라 쇠고기에 부여된 개체식별번호가 유통 과정에서 바뀌지 않고 제대로 표시가 되겠느냐는 지적 같은 것이다.

물론 그런 지적은 축산 생산 현장이나 유통 현장에서 따끔하게 받아들여져야 할 것이다. 실제 그런 우려가 적지 않은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축산 생산 현장이나 유통 현장 종사자들을 믿지 않으면 우리가 바라는 축산물 안전 관리 시스템은 조기에 제대로 정착될 수 없음도 강조하고 싶다.

축산 생산 현장이나 유통 현장에서는 우리가 인식하고 있는 그 이상으로 안전 관리에 철저한 축산농가나 유통 종사자들이 많다.
HACCP 인증 농장이나 친환경 지정 농장의 경우 누가 시켜서 인증을 받는 경우보다 그 필요성을 절감한 나머지 자발적으로 참여한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누가 시켜서 타율적으로 인증을 받은 경우라면 인증 받은 이후 관리에 의문을 제기할 수도 있지만 자발적으로 참여한 경우는 오히려 자율적인 관리 시스템 도입을 하나의 농장 경쟁력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양돈장에 HACCP을 도입했더니 비용이 다소 증가하기는 했지만 생산성이 향상됨으로써 비용이 투자된 그 이상의 경영성과를 올렸다는 HACCP 기준원의 분석결과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축산물 유통 종사자의 경우도 그렇다. 필자가 살고 있는 동네의 한 정육점 사장은 이력제실시로 소값이 올라 어려움이 있음을 토로하면서도 이력제 실시 필요성에 절대 공감함은 물론 그런 시스템 속에서 쇠고기 장사를 하고 있는 것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소가 도축되고 경매되어 정육점에 도착하기까지의 과정도 만약 개체식별번호가 바뀔 경우 해당 유통업체나 종사자의 상거래상 불이익 때문에 굳이 부정행위를 할 수 없다는 것이 유통업계의 주장이다.
우리는 그동안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해주는 유통 업계에 대해 적잖이 불신했다. 그러나 이제는 달라졌다. 무엇보다 유통 업계 종사자들도 나름대로 전문 기능인으로서 자부심을 갖기 시작했음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그동안 그래왔던 것처럼 불신의 바탕위에서 감시할 것이 아니라 신뢰의 바탕위에서 잘못을 고쳐나가는 자세가 요구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