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M-1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환자 발견

다제내성균(Multi-drug Resistant Organism/일명 “퍼박테리아 발견

발견경위

  – 정부에서 금년 11. 1일 부터 NDM-1(뉴델리 메탈로 베타 락타메이즈-1 /New Delhi Metallo beta lactamase)을 생산하는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 (Carbapenem- 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에 대한 전국 44개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표본감시체계 가동 결과 발견

 ※ 환자들은 모두 해외 여행력은 없었고 병원에 장기간 입원하고 있었음

   – 사례 1은 50대 남성으로 간질성폐질환을 오래 앓고 있어 스테로이드를

              장기복용하여 면역력이 떨어져 있는 상태

   – 사례 2는 70대 여자로 당뇨, 화농성척추염으로 장기간 입원 중

☞ NDM-1 CRE의 경우, 주로 중환자실에 장기 입원하거나 면역체계가 저하된 중증 환자에게 감염을 일으키며 감염이 되더라도 치료가 가능한 항생제(티게사이클린, 콜리스틴)가 있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감염되거나 전파될 가능성이 희박하므로 과도하게 불안해 할 필요는 없다고함


다제내성균(Multi-drug Resistant Organism/일명 “퍼박테리아”》

 ○ 다제내성균(슈퍼박테리아)은 여러 종류의 항생제에 동시에 내성을 가진 세균으로 이 균에 감염되면 치료할 수 있는 항생제가 거의 없음

  – 대표적으로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반코마이신내성 황색포도상  구균, 반코마이신내성 장내세균 등과 이번에 문제가 된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 등이 있다.

 ○ 다제내성균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 치료할 수 있는 약이 거의 없고

   △ 병이 쉽게 낫지 않아 입원일수가 길어지며

   △ 입원비, 약제비 등 의료비용이 늘고

   △ 항생제가 거의 없어 패혈증과 같은 쇼크 등으로 치사율이 높아짐


【참고자료】

1. NDM-1 생성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이란?

 NDM-1이란 일부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이 생성하는 뉴델리 메탈로 베타 락타메이즈(New Delhi Metallo-beta lactamase)라는 효소를 지칭하며 이 효소로 인해 카바페넴계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갖게됨

(즉 항생제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여러 효소중 하나임)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CRE)은 요로감염, 폐렴, 패혈증 등 다양한 감염 질환을  일으키는 장내세균(Enterobacteriaceae)과 균종(species)인 대장균(Escherichia coli), 폐렴간균(Klebsiella pneumoniae), 엔테로박테리아(Enterobacter cloacae) 등에서 카바페넴 계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지닌 세균을 의미


2. NDM-1 생성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CRE) 감염증의 증상

 NDM-1 생성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 감염증은 항생제 감수성 장내세균   감염증과 동일하게 요로감염, 폐렴, 패혈증 등을 일으킴


3.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CRE) 감염증과 항생제 감수성 장내세균 감염증을

   구분하는 방법

 일차적으로 장내세균에 사용하는 항생제가 감염증에 효과가 없거나 현저히 감소한 경우 카바페넴내성을 의심해 볼 수 있음


4. NDM-1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CRE)가 검출된 국가

 인도․파키스탄․방글라데시에서 처음 검출, 영국 등 유럽, 미국․캐나다 등 북미, 호주․일본․중국․싱가포르․대만에서도 나옴,

 우라나라를 포함해 전 세계 16개국


5. 다제내성균(슈퍼박테리아) 예방법

다제내성세균 감염을 피하는 방법은 오로지 청결뿐임. 다세내성균은 접촉으로 전파되기 때문에 손을 깨끗이 씻고 오염 가능성이 높은 곳은 소독

 전파를 막기 위한 신속한 진단과 철저한 감염관리가 중요함

6. 다제내성균(일명 “슈퍼박테리아”) 발견경위

 1961년 영국에서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이, 1996년 일본에서는 VRSA(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반코마이신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이 처음으로 보고됨

항생제는 병원균에 의한 감염증을 치료하는 약물로, 감염 증세에 뛰어난 효능을 보이나 항생제를 자주 사용하다 보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균주들이 살아남거나 돌연변이를 통하여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을 가진 균주들이 생겨나게됨

따라서 점점 더 항생제에 내성력이 강해진 병원균들이 생겨나게되며 이 때문에 치료를 위하여 더 강력한 항생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그러다 결국은 어떤 강력한 항생제에도 저항할 수 있는 박테리아가 생겨나기도함. 이를 슈퍼박테리아라고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