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제로(FMD Zero) 활용법
구제역 제로란 ?유산균의 생균효과 + 젖산,구연산의 살균효과 = 친환경 미생물 제제
◈ 유산균 :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류를 통칭 젖산에 의한 낮은PH로 부패균 및 병원성균의 침입을 막아 질병 감소, 축사 악취 감소, 가축의 면역기능 강화 등의 효과가 있음.
◈ 구연산 : 천연 유기산으로 소독제, 식품첨가물(주스, 청량음료 등)과 의약품에 많이 쓰임.
※ 유산균 배양액에 구연산 첨가(1~2%) 산도4.0 이하로 조정
[용법 및 용량]
1. 적용 대상 :「구제역 제로」는 일반소독제로는 사용하기 어려웠던 곳인 사료 및 음수통, 농후사료, 조사료, 축사내부, 가축에게 직접살포 및 급여해도 안전한 친환경 소독제임
2. 사용방법 : 물에 100배 희석 사용, 18L/통 포장 ⇒ 물1000L(1톤)+원액10L(1/2통)
[의문 사항]
1. 구제역 제로가 살포된 사료, 음수급여시 소의 반추위 기능에 문제가 없나요?
→ 소에게 급여하는 사료중의 하나인 청보리엔실리지 등은 산도(PH)가 4~5정도이며 질 좋은 사료원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2. 희석배수대로 사용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 고농도 사용이 소독효과가 좋은게 아닙니다. 오히려 원액은 산도가 낮으므로 가축에게 해가될 수 있으므로 권장희석배수 사용을 권합니다.
[주의사항]
– 유통기간 준수(살아있는 미생물로 기간 경과시 효과감소), 냉장시 1개월간 유효
– 냉장보관(10℃이하), 직사광선을 피하고 부득이한 경우 서늘한 냉암소 보관
– 소독제 등 다른 약제 혼합사용 금지, 청결최우선, 지속적 사용시 효과가 큼
– 산성제제 인 구제역 제로는 생석회 같은 알칼리제제가 살포되어있는곳에 사용금지
폭염 및 장마대비 가축질병 예방요령
1. 주요 가축의 여름철 사양관리
[ 소 ]
○ 환기창이나 통풍창은 넓고 크게 하여, 시원한 바람이 들어오도록 함
○ 천장이나 벽에는 열막이 재료를 부착하여 태양열을 차단함
○ 깨끗하고 시원한 물을 충분히 먹도록 함
○ 지붕에 물을 뿌려주고 운동장에 그늘막을 설치하여 온도를 낮추어 줌
○ 놓아먹이기 할 경우에는 뜨거운 한낮을 피하고, 아침, 저녁 시원할 때 하도록 함
○ 기온이 높은 한낮에는(오전11시~오후2시경) 소에 찬 물을 뿌려줌
○ 소화가 잘 되는 질 좋은 조사료를 먹이고, 농후사료 주는 비율을 높여줌
○ 비타민과 광물질을 사료에 섞어 먹이고, 소금은 자유롭게 먹을 수 있도록 함
[ 돼지 ]
○ 돼지우리에는 송풍기 또는 대형 선풍기를 설치해 줌
○ 새끼 낳을 돼지우리에는 어미돼지 머리에 물방울이 떨어질 수 있는 시설을 하여줌
○ 지붕에 물을 뿌려주도록 하여 돼지우리 내 온도가 올라가지 않도록 함
○ 돼지우리 천장에는 물안개 살포장치를 설치하여 필요할 때 가동시킴
○ 사료는 1주일분 정도씩 구입하여 상한 사료를 먹이지 않도록 함
○ 돼지우리 면적에 알맞게 사육 마릿수를 조절할 것
○ 젖 뗀 어미돼지는 고운 스트레스를 받으면 임신율이 낮아지므로 축사 안에 물뿌리개 시설이나, 운동장에 그늘막 설치로 고온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함
○ 열사병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돼지를 시원하고 조용한 곳으로 옮긴 후 해열제를 주사하고 돼지 몸에 물을 뿌려줌
[ 닭 ]
○ 닭은 몸 전체가 깃털로 쌓여 있고, 땀샘이 발달되어 있지 않아 체온조절이 어려우므로 특히 여름철 관리에 신경을 쓰도록 함
○ 간이 닭장은 스티로폼 등을 이용한 열막이 시설로 온도 상승을 막아줌
○ 무더운 한낮에는 닭장 지붕 위에 물을 뿌려 복사열을 막아줌
○ 닭장 안의 환기는 자연관기보다는 환풍기 등으로 강제통풍을 하여줌
○ 좁은 곳에 너무 많이 사육되지 않도록 알맞은 마릿수를 유지하여 줌
○ 고온에서는 물 먹는 양이 많아지므로, 시원한 물을 충분히 먹임
○ 배합사료를 오래 보관하면 상하기 쉬우므로, 적은 양을 자주 구입토록 함
2. 가축 위생관리
[가축질병 예방대책]
○ 축사를 항상 깨끗이 하고, 정기적으로 소독실시
○ 축사지붕 주위에 그늘막 설치, 축사 내 환풍기 설치 가동
○ 시원한 물과 소금을 충분히 먹이고, 비타민․광물질 등 첨가제 주기
○ 파리, 모기 퇴치를 위한 방충망 설치, 살충제 뿌리기
○ 외부인과 차량의 축사 출입 제한, 사전 백신접종
○ 가축전염병 발생시 방역당국에 신고하고, 방역관의 지시에 따라 조치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는 가축질병]
○ 소 : 일사병, 유행열, 설사병, 유방염, 아까바네병, 폐렴 등
○ 돼지 : 열사병, 일본뇌염 등
○ 닭 : 뉴캣슬병, 콕시듐병, 가금티푸스 병
[치료 및 방역요령]
○ 열사병이 발생하면 수액을 주사하거나 충분한 양의 물과 영양을 공급
○ 모기로 인한 질병 의심 가축이 발견되면 수의사에게 진료 요청 또는 가축방역기관에 신고
– 수의사의 진료처방에 따라 조치하고 필요할 때 추가로 예방접종 실시
○ 젖소 유방염은 유방 내 응고물과 독성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을 실시하고 소염제 주사
– 유방균에 대한 감수성 검사 및 알맞은 약으로 치료 실시
연락처
연락처
구분 |
성명 |
사무실 번호 |
소장 |
임 병 규 |
8008-6301 |
담당팀장 |
노 기 완 |
8008-6270 |
담 당 자 |
최 순 근 |
8008-62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