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축산위생연구소, 하절기 농가소독 및 방역지도 추진

———————————————————————————————————————————
○ 도 축산위생연구소, 하절기 맞아 농가소독 및 방역지도 추진
○ 하절기 폭염, 장마로 열사병 및 기종저, 보튜리즘 토양 유래성 질병발생우려
○ 물 웅덩이 등에서 파리,모기서식지 증가로 매개질병 증가가 우려됨에 따라
○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농가소독 및 방역지원 등 축산농가 피해 최소화
———————————————————————————————————————————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는 오는 8월 14일까지 도내 31개 시군 축산 농가를 대상으로 하절기 농가소독 및 방역지도를 실시한다.

2일 연구소에 따르면 하절기에는 고온다습한 계절적 특성으로 인해 세균성·바이러스성 질병과 열사병, 모기매개성 질병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연구소는 수의직 공무원으로 구성된 60개 반 총 120명을 편성·동원해 농가 방역지도 및 질병 예방활동 등 선제적 집중 방역관리에 나서기로 했다.

연구소는 방역기간 동안 시군 협조를 받아 질병발생 등 폭염피해농가를 수시로 파악해 신속한 대처를 취할 방침이다. 우선 피해농가 발생 시 원인파악 및 농장별 소독 등 방역지원을 실시하게 된다. 아울러, 과거 질병발생농가 등 방역취약농가를 방문해 하절기 가축질병 예방요령과 여름철 사양관리에 대해 방역지도를 실시한다.

이외에도 여름철 문제시되는 악취개선 등 축산농가의 위생관리를 위해 연구소에서 보유중인 소독·방제차량 4대를 투입, 유용미생물제재를 축사 내외부에 살포한다. 유용미생물제재는 항산화력, 소생력, 정화력에 뛰어난 미생물을 활용해 만든 약품으로 현재 연구소 바이오연구팀에서 생산 중에 있다.

임병규 축산위생연구소장은 “높은 습도에 의한 곰팡이 오염 또는 세균증식에 의한 소화기성 질병발생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양축 농가에서는 『하절기 가축질병 방역요령』을 적극 활용하고, 질병 의심축이 발견시 수의사에게 진료요청 또는 축산위생연구소에 신고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고 위생적인 축사관리와 소독 등 방역관리에 철저를 기해 줄 것”을 당부했다.

방제차량 농가 소독장면

[방제차량 농가 소독장면]

구제역 제로(FMD Zero) 활용법

구제역 제로란 ?유산균의 생균효과 + 젖산,구연산의 살균효과 = 친환경 미생물 제제

◈ 유산균 :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류를 통칭 젖산에 의한 낮은PH로 부패균 및 병원성균의 침입을 막아 질병 감소, 축사 악취 감소, 가축의 면역기능 강화 등의 효과가 있음.
◈ 구연산 : 천연 유기산으로 소독제, 식품첨가물(주스, 청량음료 등)과 의약품에 많이 쓰임.
※ 유산균 배양액에 구연산 첨가(1~2%) 산도4.0 이하로 조정

[용법 및 용량]
1. 적용 대상 :「구제역 제로」는 일반소독제로는 사용하기 어려웠던 곳인 사료 및 음수통, 농후사료, 조사료, 축사내부, 가축에게 직접살포 및 급여해도 안전한 친환경 소독제임
2. 사용방법 : 물에 100배 희석 사용, 18L/통 포장 ⇒ 물1000L(1톤)+원액10L(1/2통)

[의문 사항]
1. 구제역 제로가 살포된 사료, 음수급여시 소의 반추위 기능에 문제가 없나요?
→ 소에게 급여하는 사료중의 하나인 청보리엔실리지 등은 산도(PH)가 4~5정도이며 질 좋은 사료원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2. 희석배수대로 사용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 고농도 사용이 소독효과가 좋은게 아닙니다. 오히려 원액은 산도가 낮으므로 가축에게 해가될 수 있으므로 권장희석배수 사용을 권합니다.

[주의사항]
– 유통기간 준수(살아있는 미생물로 기간 경과시 효과감소), 냉장시 1개월간 유효
– 냉장보관(10℃이하), 직사광선을 피하고 부득이한 경우 서늘한 냉암소 보관
– 소독제 등 다른 약제 혼합사용 금지, 청결최우선, 지속적 사용시 효과가 큼
– 산성제제 인 구제역 제로는 생석회 같은 알칼리제제가 살포되어있는곳에 사용금지

폭염 및 장마대비 가축질병 예방요령

1. 주요 가축의 여름철 사양관리

[ 소 ]
○ 환기창이나 통풍창은 넓고 크게 하여, 시원한 바람이 들어오도록 함
○ 천장이나 벽에는 열막이 재료를 부착하여 태양열을 차단함
○ 깨끗하고 시원한 물을 충분히 먹도록 함
○ 지붕에 물을 뿌려주고 운동장에 그늘막을 설치하여 온도를 낮추어 줌
○ 놓아먹이기 할 경우에는 뜨거운 한낮을 피하고, 아침, 저녁 시원할 때 하도록 함
○ 기온이 높은 한낮에는(오전11시~오후2시경) 소에 찬 물을 뿌려줌
○ 소화가 잘 되는 질 좋은 조사료를 먹이고, 농후사료 주는 비율을 높여줌
○ 비타민과 광물질을 사료에 섞어 먹이고, 소금은 자유롭게 먹을 수 있도록 함

[ 돼지 ]
○ 돼지우리에는 송풍기 또는 대형 선풍기를 설치해 줌
○ 새끼 낳을 돼지우리에는 어미돼지 머리에 물방울이 떨어질 수 있는 시설을 하여줌
○ 지붕에 물을 뿌려주도록 하여 돼지우리 내 온도가 올라가지 않도록 함
○ 돼지우리 천장에는 물안개 살포장치를 설치하여 필요할 때 가동시킴
○ 사료는 1주일분 정도씩 구입하여 상한 사료를 먹이지 않도록 함
○ 돼지우리 면적에 알맞게 사육 마릿수를 조절할 것
○ 젖 뗀 어미돼지는 고운 스트레스를 받으면 임신율이 낮아지므로 축사 안에 물뿌리개 시설이나, 운동장에 그늘막 설치로 고온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함
○ 열사병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돼지를 시원하고 조용한 곳으로 옮긴 후 해열제를 주사하고 돼지 몸에 물을 뿌려줌

[ 닭 ]
○ 닭은 몸 전체가 깃털로 쌓여 있고, 땀샘이 발달되어 있지 않아 체온조절이 어려우므로 특히 여름철 관리에 신경을 쓰도록 함
○ 간이 닭장은 스티로폼 등을 이용한 열막이 시설로 온도 상승을 막아줌
○ 무더운 한낮에는 닭장 지붕 위에 물을 뿌려 복사열을 막아줌
○ 닭장 안의 환기는 자연관기보다는 환풍기 등으로 강제통풍을 하여줌
○ 좁은 곳에 너무 많이 사육되지 않도록 알맞은 마릿수를 유지하여 줌
○ 고온에서는 물 먹는 양이 많아지므로, 시원한 물을 충분히 먹임
○ 배합사료를 오래 보관하면 상하기 쉬우므로, 적은 양을 자주 구입토록 함

2. 가축 위생관리

[가축질병 예방대책]
○ 축사를 항상 깨끗이 하고, 정기적으로 소독실시
○ 축사지붕 주위에 그늘막 설치, 축사 내 환풍기 설치 가동
○ 시원한 물과 소금을 충분히 먹이고, 비타민․광물질 등 첨가제 주기
○ 파리, 모기 퇴치를 위한 방충망 설치, 살충제 뿌리기
○ 외부인과 차량의 축사 출입 제한, 사전 백신접종
○ 가축전염병 발생시 방역당국에 신고하고, 방역관의 지시에 따라 조치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는 가축질병]
○ 소 : 일사병, 유행열, 설사병, 유방염, 아까바네병, 폐렴 등
○ 돼지 : 열사병, 일본뇌염 등
○ 닭 : 뉴캣슬병, 콕시듐병, 가금티푸스 병

[치료 및 방역요령]
○ 열사병이 발생하면 수액을 주사하거나 충분한 양의 물과 영양을 공급
○ 모기로 인한 질병 의심 가축이 발견되면 수의사에게 진료 요청 또는 가축방역기관에 신고
– 수의사의 진료처방에 따라 조치하고 필요할 때 추가로 예방접종 실시
○ 젖소 유방염은 유방 내 응고물과 독성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을 실시하고 소염제 주사
– 유방균에 대한 감수성 검사 및 알맞은 약으로 치료 실시

연락처

연락처
구분 성명 사무실 번호
소장 임 병 규 8008-6301
담당팀장 노 기 완 8008-6270
담 당 자 최 순 근 8008-6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