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 응애 방역수칙
<농림축산식품부/농림축산검역본부/국립농업과학원>
가. 봄, 가을에 봉군관리를 철저히 하고 봉장에 습기를 없애고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도봉 방지 및 양봉기구의 봉군 간 재사용을 하지 않아야 한다.
나. 문제가 있는 벌통은 과감하게 폐기하거나 소독처리하여야 한다. 또한, 감염벌통에서 발생한 배설물이 다른 벌통으로 옮겨지는 것을 막아야 한다.
다. 건강 봉군들 주변 환경과 봉기구들에 소독제*를 매일 뿌려 준다.
* 구제역, AI 바이러스에 효과가 있는 삼종염 계열, 구연산 제제 등
** 소독제 사용 시 꿀에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라. 꿀벌에게 영양제를 충분히 급여해야 합니다.
○ 꿀벌에게 깨끗하고 미지근한(약 37도) 1% 소금물(소금 10그램에 1리터 깨끗한 물)을 벌통 가까운 곳에 매일 공급 한다.
○ 사료 첨가용 비타민, 미네랄 합제를 구입하여 설탕물이나 꿀물에 타서 벌에게 직접 분무한다.
○ 화분 떡을 충분히 공급한다.
○ 프로폴리스를 설탕물이나 꿀물에 타서 벌에게 직접 분무한다.
□ 응애약 사용 시 권장사항
○ 약제를 사용할 때는 직전에 사용했던 약제와는 다른 성분의 약제를 사용함으로써 성분별로 순환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 약품명이 달라도 성분은 동일할 수 있으므로 성분명을 반드시 확인하시고 사용해야 합니다.
○ 응애에 대한 유효약제 선발 시험 후 가장 효과적인 약제를 투여합니다. 봉장에서 직접 어느 약제의 살충효과가 좋은지를 일부 봉군에 먼저 투여해 보고 가장 효과가 좋은 약제를 양봉장 전체에 사용하실 것을 추천합니다.
□ 구제요령
○ 치료용 약제와 수벌방 이용 구제법을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수벌에 바로아응애 기생이 집중되므로 수벌틀을 사용해 응애를 모으고 수벌의 우화 직전에 수벌과 함께 기생한 바로아응애를 한꺼번에 제거[一掃(일소)]한다.
○ 화학적 구제제인 유기산, 에센셜오일, 피레스로이드 및 유기인계 등을 사용한다 (붙임 1 : 양봉용 동물용의약품 허가 현황).
○ 여왕벌을 케이지에 넣어 산란을 중지시킨다.
* 특히, 가시응애는 성봉을 흡즙하지 못하며 애벌레 없이는 2일 이상 생존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 방법이 가시응애에 효과적이다.
구분 |
바로아응애 |
가시응애 |
형태 |
넓은 타원형 |
긴 타원형 |
크기(mm)1 |
1.5×1.1 |
0.5×1.0 |
기생대상2 |
애벌레, 번데기, 성봉 |
애벌레, 번데기 |
발육기간3 |
알부터 성충까지 8~10일 걸림 |
알부터 성충까지 6일 걸림 |
전파양상 |
감염된 벌통, 분봉, 봉군의 이동, 양봉도구 등을 통해 전파됨 |
1 그림 1. 바로아응애, 그림 4. 가시응애 발육단계
2 그림 2. 꿀벌 애벌레에 기생하여 체액을 빨아먹고 있는 응애
3 그림 3. 바로아응애 생활사
□ 증상
○ 일벌과 수벌의 체중이 감소한다.
○ 비행 능력이 떨어지고, 먹이활동 후 복귀율이 낮아진다.
○ 애벌레 폐사, 기형 날개, 짧은 다리와 복부를 가진 약한 성봉을 볼 수 있으며, 벌들이 벌통입구에서 마비증상을 보일 수도 있다 (그림 5).
○ 수명이 짧아지고 날개불구바이러스 등 바이러스성 질병을 매개할 수 있다.
○ 일벌들이 병들거나 죽은 애벌레를 청소하기 위해 소방에 구멍을 내어 불규칙한 봉개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림 6). 봉개된 소방내 애벌레 또는 번데기는 감염정도에 따라 정상적이거나 체중감소, 기형 다리 등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진단
○ 수벌과 일벌 소방에서 관찰할 수 있다.
○ 응애구제제를 벌통에 투여하고 벌통 바닥에 끈끈이 매트를 넣어 떨어진 응애수를 조사함으로써 벌통내 응애감염정도를 확인한다 (그림 7).
○ 바로아응애의 경우, 가루설탕에 꿀벌을 굴려주는 가루설탕법으로 벌통내의 응애 숫자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림 8).
(’22.9월 기준)
구 분 |
유효성분 |
제품명 |
제품형태 |
응 애
구제제 |
유기산 |
개미산 |
마이트-K, 킥-마이트액 |
액제 |
개미산
+구아검 |
응애멸 |
반고형제 |
구연산, 프로폴리스 |
응애캐치 액, 비넨볼, 비세노바, 응애가 액, 비가드액 |
액제 |
에센셜오일 |
티몰 |
메파티카*, 대한안티섹*, 포그마이트 액제, 비-큐어 액*, 코미-비 티몰액*, 하니가드*, 클리너-비 액*, 애드크린비플러스*, 아피가드, 아시피카*, 비해피 바로액*
*효능효과 중 “석고병”이 포함된 제품 |
액제 |
피레스 로이드계 |
플루발리
네이트 |
홍사방 스트립, 중앙피투, 한동피투, 웨이펑 만푸골드, 신만푸 스트립, 왕스만푸리크, 봉황골드스트립 |
스트립 |
플루메스린 |
탑플루, 무지개 만패, 양봉용 바이바롤 |
스트립 |
유기인계 |
쿠마포스 |
코마-에이치, 페리진액, 쿠마킹 액 |
액제 |
포름
아미딘계 |
아미트라즈 |
바로캇트훈연지, 대성 속살-골드 액, 아미키트 |
액제 |
유기염소계 |
테트라디폰, 초산화칼륨 |
신등전훈연지 |
훈연지 |
티아
졸리딘계 |
시미아졸 |
바로킬, 바로킬-P |
액제, 산제 |
디페놀계 |
브롬모프로필레이트 |
폴벡스-VA |
훈연지 |
노제마증 치료제 |
살리실산 나트륨 +β-불가리스 |
노제시드, 노노스, 노제로 플러스, 노제피스 액, 노제프리 액 |
액제 |
푸마길린 |
후마린, HD가디언 산, 후마길비, 후마길 산, 후미딜-비 산제 |
산제 |
부저병 |
옥시테트라 싸이클린
+네오마이신 |
양봉용 네오테트라 |
산제 |
소독제 |
삼종염 |
라이프자켓 |
정제 |
클로이-비 |
이산화염소 |
액제 |
* 상기 제품명은 조회 시점에 따라 변동이 가능하며, 제품조회 방법은 인터넷 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용의약품관리시스템인터넷(medi.qia.go.kr)에 접속(회원가입 불필요) → 상단의 “통합검색” 클릭 → 좌측의 “성분”에서 “성분명”(예시 : 개미산)을 검색하시면 해당 성분으로 허가된 모든 제품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양봉용 동물용의약품을 사용하려는 경우 수의사의 진료 또는 처방이나 수의사의 지시에 따라 사용해야 합니다.
- 동물(꿀벌) 소유자 또는 관리자는 동물용 의약품등의 제조·수입 품목의 사용설명서에 정해진 용법 및 용량과 휴약기간에 대한 안전기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 동물용의약품등 안전사용기준(농림축산검역본부 고시) 미준수 시 과태료 100만원 이하 부과
- 동물(꿀벌) 소유자 또는 관리자는 동물용의약품등 사용내역을 철저히 기록․유지해야 합니다.
- 벌꿀에서는 양봉용의약품의 휴약기간을 설정할 수 없으므로 유밀기 직전 및 유밀기에는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 봄철 및 가을철에 양봉용 동물용의약품을 사용하여 사양 관리한 벌꿀은 정리채밀하여 식용목적으로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 벌꿀 등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약물 치료 종료 시점과 유밀기가 시작되는 시점 사이에 일정한 기간(4~6주)을 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붙임 4 |
|
시·도 동물위생시험소 관할지역 및 연락처 |
시도 |
본·지소 |
관할 지역 |
전화번호 |
서울 |
보건환경연구원 |
서울 |
02-570-3441 |
부산 |
보건환경연구원 |
부산 |
051-330-6123 |
대구 |
보건환경연구원 |
대구 |
053-760-1307 |
인천 |
보건환경연구원 |
인천 |
032-440-5644 |
광주 |
보건환경연구원 |
광주 |
062-613-7656 |
대전 |
보건환경연구원 |
대전 |
042-270-6895 |
울산 |
보건환경연구원 |
울산 |
052-229-5242 |
세종 |
보건환경연구원 |
세종 |
044-301-3862 |
경기 |
본소 |
수원, 안양, 부천, 안산, 과천, 시흥, 군포, 의왕, 김포, 성남, 오산, 화성, 광명 |
031-8008-6311 |
동부지소 |
하남, 여주, 광주, 이천, 양평 |
031-635-3680 |
남부지소 |
용인, 평택, 안성 |
031-651-2037 |
북부동물위생시험소 |
의정부・동두천・양주・연천・고양・파주 |
031-8008-6431 |
북부지소 |
남양주, 구리, 가평, 포천 |
031-593-4011 |
강원 |
본소 |
춘천, 철원, 화천, 강구 |
033-248-6623 |
동부지소 |
강릉, 동해, 삼척, 태백 |
033-610-8702 |
남부지소 |
원주, 홍천, 횡성 |
033-737-6771 |
중부지소 |
영월, 평창, 정선 |
033-339-8852 |
북부지소 |
인제, 고성, 속초, 양양 |
033-634-8532 |
충북 |
본소 |
청주, 진천, 증평, 괴산 |
043-220-6243 |
중부지소 |
충주, 음성 |
043-220-6313 |
남부지소 |
영동, 보은, 옥천 |
043-220-6343 |
북부지소 |
제천, 단양 |
043-220-6354 |
충남 |
본소 |
보령, 청양, 홍성 |
041-635-7021 |
아산지소 |
천안, 아산 |
041-635-7131 |
공주지소 |
공주, 금산, 세종, 계룡 |
041-635-7101 |
당진지소 |
예산, 당진 |
041-635-7170 |
부여지소 |
논산, 부여, 서천 |
041-635-7191 |
태안지소 |
서산, 태안 |
041-635-7221 |
전북 |
본소 |
전주, 완주, 무주, 진안, 장수 |
063-290-5406 |
북부지소 |
군산, 익산, 김제 |
063-290-5550 |
서부지소 |
정읍, 고창, 부안 |
063-290-6555 |
남부지소 |
남원, 임실, 순창 |
063-290-6591 |
전남 |
본소 |
나주, 장흥, 강진, 해남, 영암, 완도, 진도 |
061-286-6130 |
동부지소 |
여수, 순천, 광양, 구례, 고흥, 보성 |
061-759-4110 |
서부지소 |
목포, 무안, 함평, 영광, 신안 |
061-286-6870 |
북부지소 |
담양, 곡성, 화순, 장성 |
061-286-6670 |
경북 |
본소 |
구미, 칠곡, 군위, 성주, 고령, 경산, 영천, 청도 |
053-310-5523 |
북부지소 |
안동, 영주, 의성, 청송, 영양, 봉화 |
054-850-3310 |
동부지소 |
경주, 포항, 영덕, 울진, 울릉 |
054-778-3520 |
서부지소 |
김천, 상주, 문경, 예천 |
054-530-4121 |
경남 |
본소 |
진주, 사천, 산청, 하동 |
055-254-3022 |
중부지소 |
창원, 김해, 함안 |
055-254-3212 |
동부지소 |
밀양, 양산, 창녕 |
055-254-3382 |
북부지소 |
의령, 함양, 거창, 합천 |
055-254-3312 |
남부지소 |
통영, 거제, 고성, 남해 |
055-254-3352 |
제주 |
동물위생시험소 |
제주 |
064-710-8542 |
농림축산식품부 조류인플루엔자방역과 |
044-201-2559 |
농림축산검역본부 세균질병과 기생충꿀벌질병연구실 |
054-912-0743∼8 |
|